내과진료
기능성 소화 불량증
음식물 섭취 후, 상복부 중앙의 통증과 거북한 느낌과 더부룩한 것이 12주 이상 경험 하거나 지속적으로 나타내는 경우 소화불량증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기능성 소화 불량증이 의심될 경우 전문의 진찰 후 약 처방을 받아 복용하는 것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규칙적인 운동과 생활 습관은 기능성 소화 불량증을 치료 및 예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소화성 위궤양
공복 시에 속이 쓰리고, 잠 자다가 복통으로 잠에서 깨게 되는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우유를 마시거나, 음식물을 섭취하면 통증 완화가 가능합니다. 내시경 검사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급만성 위염
급성 위염은 위벽보호가 약해진 상태에서 위산의 과다분비가 생겨 발행합니다. 증상은 속이 매스껍고, 구토가 있는데, 약물을 복용하면 빠르게 치유됩니다.
혹, 위 용종
점막의 표면에 솟아 올라와 있는 혹을 용종이라고 하며, 위에 발생한 용종을 위용종이라 하며 위용종은 대개 양성 질환이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암으로 진행하지 않습니다.
악성종양, 위암
점막층과 점막하층에 국한된, 비교적 병변이 얕은 조기위암은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치유가 되며, 위 점막에서 발생한 악성 종양은 일반적으로 위암이라고 합니다.
위 식도 역류 질환
위, 십이지장의 위산이 섞인 내용물이 식도로 올라와 염증이 발생하면 위 식도 역류 질환이라고 말하고, 염증을 동반한 미란, 궤양 등의 식도 점막 손상이 생긴 경우 역류성 식도염이라고 합니다. 위 식도 역류 질환은 재발이 쉽습니다.
식도암
흡연, 음주, 뜨거운 차에 의한 자극 등으로 발생 할 수 있으며,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조기 발견이 중요합니다.